집에서 사용하는 멀티탭에서 스파크가 나신 적 있으십니까?
우리가 사용하는 멀티탭은 많은 전자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입니다.
다만 스파크가 나는 제품은 살짝 두렵더군요.
저는 경험해본 적 있습니다. 군대에서도 경험한 거 같네요..
스파크가 튄 제품들은 접지 부분이 없는 구형 제품인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제품들은 멀티탭에 꼽을 때 스파크가 튀게 됩니다.
단지 규격이 맞으면 보이지 않으며, 접지까지 있으면 안전하게 처리될 뿐이죠
물론 스파크가 눈에 띄게 보인다면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만큼 교체를 권장하는데요.
저희집 멀티탭의 경우 10년이 지났음에도 같은 것으로 계속 쓰는 것이 있고,
교체한 것도 있고 다양합니다.
주로 교체한 제품으로 따지면.. 규격이 안맞거나, 스파크가 일어나거나,
멀티탭의 선이 피복되는 현상이 일어나거나, 선에서 탄내가 나는 등..
생각보다 교체하게 된 계기는 많습니다.
실제로 한국전기안전공사 및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도 사용주기를 최대 2년으로 권장하고 있죠
다만 이 최대 2년이라는 권장 사용 요건은 다 다르기에 2년으로 칭해진 겁니다.
공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플러그를 자주 꼽았다 뽑았다 하는 경우 등 많죠
하지만 보통 일반 가정집에서는 한번 꼽아두고 그대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닥 교체 주기에 신경을 쓸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아래와 같이 눈에 띄게 이상징호가 보이는 경우 교체하시면 됩니다.
- 전력 차단
두꺼비 집이 내려가는 현상입니다. 제품 규격이 맞지 않거나, 과전류로 인한 차단 현상이죠.
멀티탭에 많은 제품을 꼽아뒀다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스파크 현상
멀티탭을 구매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제품 사이즈 규격이 딱 맞지 않아 그럴 수 있습니다.
다만 오래된 경우, 어느 순간부터 스파크가 보인다면 교체 시기가 된 겁니다.
- 연결 지연(제품이 작동되기 까지 지연시간이 있는 경우)
지연 연결은 사실 멀티탭 문제로 보기엔 어렵지만, 선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실제로 연결 지연되는 제품을 오래 쓰다 보면 화재의 위험성이 발생하니 유의하세요.
*저 같은 경우 보조배터리 선이 지연연결 되더니, 선에서 불이 났습니다..(바로 끄긴 했음)
장소도 영화관 안에서 일어나다 보니,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습니다.
(다만 이전에도 징조 현상이 있었으나, 무시하고 썼습니다..)
- 흔들었을 때 소리 남
멀티탭 내부에서 부품이 부서지거나, 불순물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적으로 교체 주기는 이때 해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 녹아내린 현상
요즘 멀티탭은 직류전류차단, 접지, 화재로부터 안전한 가공제로 제작되기에 가능성은 낮습니다만,
옛날에 사용하는 멀티탭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더군요.
군대에서 오래된 멀티탭이 녹기 시작하면서 연기가 나더군요. (ㄷㄷ)
그때 조기 발견되서 신속한 대처가 있어서 사고는 나지 않았지만, 자칫 뉴스거리가 나갈 뻔 했습니다..
(당시 발견한 것에 대해서는 전투휴무 1일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멀티탭이 녹는 현상은 발견 즉시 폐기 처분 하셔야 합니다.
(제가 봤을 땐 돌돌 말아서 풀었다 묶었다 사용하는 방식이 문제가 되지 않나 싶지만요..)
- 연결 차단
멀티탭이 전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차단기가 내려간 경우일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계속 연결한다면 멀티탭의 어느 부위가 뜨거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방치한다면 화재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일시적 전류 차단
이것도 잘 없는 일입니다만.. 멀티탭이 한번씩 1초 단위로 꺼졌다 켜지는데..
이건 바로 교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교체 시기는 위와 같이만 준수해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다음으로 멀티탭 고르는 기준입니다.
- 사용 제품 정하기
우선 멀티탭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 용량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멀티탭의 뒷면에 보면 전압(V)와 전류(A)의 값이 적혀있습니다.
그 값의 합은 사용하는 제품의 합보다 높아야 적정 사용량이 됩니다.
예를들어 '정격 16A 250V'라고 표기된 제품의 경우,
그 둘의 값의 곱인 16(A) * 250(V) = 4000(W) 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 값이 초과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냐구요..?
과부화로 발열이 발생해 불이 나거나, 과전류를 탐지해 차단기가 내려가겠네요.
따라서 사용하는 제품의 전력 소비량을 확인하시고,
멀티탭 전압은 소비량의 적어도 1.2배, 즉 80%까지만 되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 KC 인증마크 확인
전자 제품의 필수 마크입니다.
전기용품안전인증 제품이므로, 한국에서 발매하는 제품 중에 달리지 않았다면
저렴하다면 추천하지 않습니다.
- 과부하 차단 기능
멀티탭 기능 중 과부하 차단 기능이 달린 제품이 존재합니다.
저희 집도 많은 제품을 연결하는 멀티탭의 경우 과부하 기능이 달린 멀티탭을 사용합니다.
과부하 차단 기능은 정상적인 전압이 공급되는 도중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멀티탭의 기능을 중단시키는 기능입니다.
보통 해당 멀티탭에는 RESET 버튼이 존재하므로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 접지가 달린 멀티탭
이거는 요즘은 다 달려있어서 길게 작성하지 안하겠습니다.
구형 제품의 경우 접지가 존재하지 않아, 전자 기기를 연결하거나, 선을 만졌을때
정전기 또는 짜릿한 기운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해당 사유는 누전 또는 정전기로 인해 발생한 현상으로,
화재 위험 소지가 있기 때문에 접지 있는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접지의 기능을 잘 사용하시려면 멀티탭은 바닥에 두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전기를 바닥으로 보내서 퍼트리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밑에 전자제품이 있다면 다소 위험하겠네요)
이상으로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작성자 : 히노
'사회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 와이파이가 느려졌을 때 (0) | 2022.09.20 |
---|---|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나 줘야할까? 경조금 지급 금액 (2) | 2022.09.19 |
복도에 쓰레기 내놓아도 되는가? (0) | 2022.09.15 |
선풍기 켜고 문닫고 자면 죽을 수도 있나? (0) | 2022.09.14 |
입대 전 해야하는 일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