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생활 지식

전기요금 낮추는 방법 / 전기요금 누진세 줄이는 방법

노로우 2022. 9. 6. 10:00
728x90

다소 생소한 주제이긴 하지만.. 전기요금은 지속적인 지출입니다.


이 글을 읽는다면 자녀를 둔 가정이거나

자취 및 독립을 한지 얼마되지 않은 사회 초기생으로 생각됩니다.

(아니면 관심이 많으신 분이겠죠)

 

 

 

저희는 매달 적지않은 전기요금을 내고 있는데요.

 

 

 

누구는 5000원도 안되는 적은 금액을 내고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10만원 넘는 전기요금을 내고있죠..

 

 

 

 

 

어째서 전기요금이 이렇게 차이나는 걸까요?

 

 

 

 

전기요금은 사용량 별로 금액대가 달라지는데,

사용량에 따라 금액대가 커집니다..

 

 

 

 

그냥 커지는 게 아닙니다.

 

 

 

 

누진세가 적용되서, 구간 별로 전기요금이 폭등하죠

상승폭도 약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누진세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요금 (원/호) 전력량요금(원/kWh)
200kWh이하 사용 910 처음  200kwh까지 93.2
201~400kwh사용 1,600 다음 200kwh까지 187.8
400kwh사용 7,300 600kwh초과 280.5

슈퍼유저요금 : 하계(7월 1일~8월 31일) 1,000kWh초과 전력량요금은 704.5원/kWh 적용

 

 

 

 

 

 

 

 

 


먼저 전기 요금을 낮추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외출 시 불필요한 전력 차단하기

사실 이것말곤 없긴한데 가장 중요합니다.


별 생각없이 키고 외출한 멀티탭, PC

전자기기 등을 끄고간다면 전기료를 줄일수 있죠.

 

 

불도 다 끄고 나가셔야합니다.


외출 시 가동되고 있는 건 제품이 상하지 않게하는 냉장고 말곤 다 전력 차단되어야합니다.

(전기밥솥도 예외가 아님)

 

 

 

 

 

 

 

 

2. 밥솥으로 만든 밥은 용기에 넣어 냉동실에 보관하기

밥솥으로 만든 밥은 맛있습니다.

보관도 보온효과가 있기에 아주 효과적이죠

 

 

하지만 장기간 켜둔다면 전기요금이 만만치 않습니다.

 

 

 

따라서 요금을 절약하려면, 만들때만 쓰고

밥은 용기에 보관하고, 플러그는 뽑아주셔야 합니다.

 

 

 

 

 

 

 

 

 

 

 


3. 전기효율 제품 구매하기


제품은 저렴하다고 좋은 것이 아닙니다.

저효율 제품을 장기적으로 사용한다면 요금이 크게 바뀌죠.

 


따라서 사용기간이 어느 정도될지 가늠하여 제품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전자제품은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부여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효율등급을 생각하고 구매하시길바랍니다.

 

 

 

 

 

 

 


4. LED 전구로 교체하기

백열등에 비해 전기효율이 좋습니다.

 

아니면 절약 전등을 이용하여, 반사각을 만들면 더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5. 태양열 설치하기

일반 가정집이라면 굳이 설치할 이유가 없긴합니다.

 

하지만 전기 소모량이 많아, 누진세가 크게 적용되었다면

시 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태양열을 설치하세요.


크게 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국가 또는 시 지원 없이 사는 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6. 심야 시간대 외에는 햇빛 이용하기


요즘은 반지하 없앤다고 하니, 집안에 햇빛은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해가 떠있는 8시부터 18시까지는 불을 키지않고, 어두워져서 실내 활동 시 불을 킵시다.

 

 

 

 

 

 

7. 에어컨 강풍으로 저온으로 맞췄다가 올리기

이건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에어컨을 22도로 아주 낮게 설정했다가,

공기가 차가워지는 순간 25도로 설정하는거죠.

 

또한 에어컨이 어떤 작동방식인가에 따라

껏다켰다가 하는 것이 효율적일지도,

또는 쭉 틀어두는 게 효율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

 

최근 생산 방식인 인버터의 경우, 쭉 틀어두고,

12년 이전에 구매한 제품이라면 확인 후

인버터가 아닌 경우 필요할 때만 키세요.

 

 

 

 

 

8. 온수 사용은 한번에 다같이 사용하기

온수를 나오게 하는 보일러,

하지만 이것도 자주 껏다 켰다하면 전기료가 많이 나옵니다.

따라서 씻거나 쓸 때 한번에 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상 전기료 절감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올해 2022년은 전기료 절감에 따른 캐시백 혜택도 존재하니,

오히려 돈을 받는 경우도 있겠네요.

 

해당 혜택은 검색하다 보면 나옵니다.

 

 

 

 

 

작성자 : 히노

728x90